반응형
이동통신(Mobile Communications)
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중에도 계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통신 시스템
“오지”냐 “파이프지”냐
G는 세대(Generation)의 약자로, 기술의 발전을 나누는 분기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이 세대 구분은 유엔 산하 전문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(ITU)에서 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.
이동통신기술의 변화과정
이동통신 국내 상용화 현황
세대 | 국내 상용화 | 무선전송기술 | 데이터 최대 속도 |
1세대 (아날로그 이동통신) |
1984.4 | AMPS* | - |
2세대 (디지털 이동통신) |
1996.1 (세계 최초) |
CDMA* (IS95A/B) |
14.4~114kbps |
2000.10 (세계 최초) |
CDMA (CDMA 2000 1x) |
153.6kbps | |
3세대 (High Data Rate 통신) |
2002.1 (세계 최초) |
CDMA 2000 1x EV-DO (동기식 IMT-2000) |
2.4Mbps |
2003.12 | WCDMA (비동기식 IMT-2000) |
2Mbps | |
2006.5 (세계 최초) |
HSDPA* (WCDMA 진화형) |
14.4Mbps | |
4세대 (Wireless Broadband) |
2011.7 | LTE* (10Mhz 대역 활용) |
75Mbps |
2013.6 (세계 최초) |
LTE-A (10+10Mhz 대역 활용) |
150Mbps | |
2014 | 광대역 LTE-A (20+10Mhz 대역 활용) |
225Mbps | |
2014 | 3 Band LTE-A (20+10Mhz 대역 활용) |
300Mbps | |
2017 | 4.5 Band LTE-A (할당대역 전체 CA) |
700Mbps | |
5세대 | 2019.4 | LTE-MCT | 20Gbps |
*AMPS(Advanced Mobile Phone System)
- Bell Labs에서 처음 개발한 아날로그 휴대전화 시스템 표준
*CDMA(Code-division Multiple Access)
- 여러 무선 기술이 간섭없이 데이터를 통해 통신
- 운영 스타일을 다중 액세스하는 방법
*HSPA(High Speed Packet Access)
- HSDPA : 고속 다운 링크 패킷 액세스
- HSUPA : 고속 업 링크 패킷 액세스
*LTE(Long-Term Evolution)
- HSPA 진화된 휴대전화 고속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규격
- 실질적 LTE-A부터 4G 이동통신 규격으로 인정
기업전용 LTE
통신사 무선 LTE망을 임대하여 사내 전용망처럼 이용하는 기술
발전소 내의 업무용 단말의 데이터를 일반 단말의 데이터와 분리하여, 전용 Gate-way를 통해 발전소 인트라넷으로 직접 전달하는 서비스
P-LTE 구성도
기업전용 LTE 사용자와 일반 LTE 사용자 트래픽 분리
반응형
최근댓글